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발견

2월11일 정월 대보름의 음식 풍습 이런 것도 있었네요!

반응형
이번 주말은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인데요, 설이 지나자마자, 새해의 풍요를 비는 명절인 정월대보름이 오네요. 정월 대보름날에는 달맞이, 부럼깨기, 귀밝이술 같은 풍습이 가득하고 1년 중 가장 크고 밝은 달이 뜬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 뜻? 


보름달 중에서도 달의 크기가 가장 커지는 날이라 해서 ‘정월 대보름’이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인 정월에 앞으로의 일을 계획하고 대보름의 달빛을 이용하여 어둠, 질병, 재앙들을 밀어내는 날이라고 합니다! 


정월 대보름의 대표적인 음식과 풍습은?


얼마 남지 않은 2월 11일 (토)은 새로운 해에 첫 보름달이 뜨는 정월 대보름날입니다. 정월 대보름에는 풍년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진 부럼깨기, 오곡밥 먹기 등 다양한 풍속이 존재하는데요! 


1. 부럼깨기 


정월대보름에는 건강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뜻에서 부럼을 먹습니다 이른 아침에 견과류를 깨물면 종기나 부스럼이 생기지 않고 건강하게 보낸다는 옛 풍습이 있지요. 밤, 호두, 땅콩, 잣 등의 견과류를 ‘부럼’이라고 하는데요. 



자기 나이수대로 깨물어서 종기, 부스럼이 나지 않게 기원하는데 이걸 부럼깨기라고 합니다. 부럼을 깨물면 부스럼이 없어진다는 식의 유래가 있다고 하네요. 



2. 오곡밥 먹기 


쌀, 조, 수수, 팥, 콩 등을 넣은 밥을 먹으며 한해 풍농과 안녕을 기원합니다. 오곡밥은 쌀, 보리, 콩, 기장, 조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이 들어간 밥입니다. 오곡밥에는 그 해의 곡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 농부는 농사지은 곡식을 종류별로 모두 넣어서 오곡밥을 지었다고 해요. 



새해 첫 보름달이 뜨는 날 날밤, 호두, 은행 등의 견과류를 깨물며 각종 부스럼을 예방하고, 오곡밥과 9가지 나물을 함께 먹으며 그 해 곡식 농사가 잘 되길 바라는 뜻을 염원했던 날이에요! 

맛있는 오곡밥이랑 나물 챙겨 드시고 즐겁게 보내세요! 이른 아침 부럼을 깨물면서 한 해 건강을 빌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부럼깨기도 해보시고 맛있는 오곡밥도 드셔 보세요

반응형